Projects
■ 과제명: 제주도 연안 지역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생태조경 시스템 디자인 전략 제시
■ 내용: 기후변화와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취약해진 제주도 연안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생태조경 시스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4.07.15. ~ 2025.02.28.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 참여: 책임
■ 과제명: 도시, 농촌, 해안, 산림 분야에서의 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 내용: 대상지 및 재해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리질리언스 지표와 지수를 작성함. 최종적으로 지표에 대한 자료를 지식기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함
■ 연구기간: 2022.08.18~2023.12.10
■ 지원기관: 국립생태원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참여: 공동
■ 과제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우리바다 현장연구지원사업
■ 내용: 제주도 해안지역의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해 블루카본 자원(맹그로브, 잘피림, 염습지)의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블루카본 자원의 탄소흡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스템 사고 접근법을 적용하여, 사회생태적 혜택과 위협 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기간: 2023.07.01. ~ 2023.12.01.
■ 지원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과제명: 상수원관리지역의 생태계 가치 편익 분석 및 평가 체계 마련
■내용: 지역적 규모에서 생태계서비스를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상수원관리지역의 생태계 가치와 편익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상수원 공급은 물론,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문화서비스 등을 고려한 중장기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4.04.05~2025.12.31
■ 지원기관: 한강수계관리위원회
■ 책임: 공동
■ 과제명: 시흥계곡 방재그림 SOC 조성 사전기획 및 타당성 검토
■ 내용: 시흥계곡 유역권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수리수문 분석을 수행하고 분산식 배수, 저영향개발(LID) 도입, 빗물저류시설 설치 등 도시 사회생태 시스템 회복력 향상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시함
■ 연구기간: 2022.09.07~2023.12.15
■ 지원기관: 금천구청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과제명: 국가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평가 시범사업
Evaluation of a Global Standard for the Identification of Key Biodiversity Areas Project
■ 내용: 국내외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 현황 및 기준을 분석하고 KBAs 가이드라인을 작성함. 이를 바탕으로 국내 중요생물다양성지역을 재평가하고 시범 평가를 수행함
■ 과제명: 도시, 농촌, 해안, 산림 분야에서의 식량-물-생태계-기후 연계 리질리언스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esilience index for Food-Water-Ecosystem-Climate Nexus in Urban, Rural, Coastal, and Forest area
■ 내용: 다양한 재해에 대응하여 지역·유형·시간대별 적용 가능한 리질리언스 지표 및 지수를 개발함
■ 연구기간: 2022.04.01~2023.02.28
■ 지원기관: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Korea University, OJEong Resilience Institute; OJERI
■ 과제명: 산림공원제도 도입 추진방안 연구
■ 내용: 숲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산림공원' 모델을 모색하고 제도화·입법화 추진 방안을 제시함
■ 연구기간: 2022.05.12~2022.12.15
■ 지원기관: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 참여: 공동
■ 과제명: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ural Regeneration Index using Diagnostic Indicators of Living area
■ 내용: 농촌지역의 체계적인 진단을 바탕으로 농촌재생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지수 개발 및 공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2.04.01~2026.12.31
■ 지원기관: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책임: 공동
■ 과제명: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Development of living shoreline technology based on blue carbon science to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 내용: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사업은 해양생태계를 활용한 탄소흡수 기술을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해안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지원기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Kore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과제명: 제주도 연안 지역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생태조경 시스템 디자인 전략 제시
■ 내용: 기후변화와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취약해진 제주도 연안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생태조경 시스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4.07.15. ~ 2025.02.28.
■ 지원기관: 한국연구재단
■ 참여: 책임
■ 과제명: 도시, 농촌, 해안, 산림 분야에서의 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 내용: 대상지 및 재해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리질리언스 지표와 지수를 작성함. 최종적으로 지표에 대한 자료를 지식기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함
■ 연구기간: 2022.08.18~2023.12.10
■ 지원기관: 국립생태원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참여: 공동
■ 과제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우리바다 현장연구지원사업
■ 내용: 제주도 해안지역의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해 블루카본 자원(맹그로브, 잘피림, 염습지)의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블루카본 자원의 탄소흡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스템 사고 접근법을 적용하여, 사회생태적 혜택과 위협 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기간: 2023.07.01. ~ 2023.12.01.
■ 지원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참여: 책임
■ 과제명: 상수원관리지역의 생태계 가치 편익 분석 및 평가 체계 마련
■내용: 지역적 규모에서 생태계서비스를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상수원관리지역의 생태계 가치와 편익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상수원 공급은 물론,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문화서비스 등을 고려한 중장기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4.04.05~2025.12.31
■ 지원기관: 한강수계관리위원회
■ 책임: 공동
■ 과제명: 시흥계곡 방재그림 SOC 조성 사전기획 및 타당성 검토
■ 내용: 시흥계곡 유역권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수리수문 분석을 수행하고 분산식 배수, 저영향개발(LID) 도입, 빗물저류시설 설치 등 도시 사회생태 시스템 회복력 향상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시함
■ 연구기간: 2022.09.07~2023.12.15
■ 지원기관: 금천구청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책임: 공동
■ 과제명: 국가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평가 시범사업
Evaluation of a Global Standard for the Identification of Key Biodiversity Areas Project
■ 내용: 국내외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 현황 및 기준을 분석하고 KBAs 가이드라인을 작성함. 이를 바탕으로 국내 중요생물다양성지역을 재평가하고 시범 평가를 수행함
■ 연구기간: 2022.08.18~2023.12.10
■ 지원기관: 국립생태원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참여: 공동
■ 과제명: 도시, 농촌, 해안, 산림 분야에서의 식량-물-생태계-기후 연계 리질리언스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esilience index for Food-Water-Ecosystem-Climate Nexus in Urban, Rural, Coastal, and Forest area
■ 내용: 다양한 재해에 대응하여 지역·유형·시간대별 적용 가능한 리질리언스 지표 및 지수를 개발함
■ 연구기간: 2022.04.01~2023.02.28
■ 지원기관: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Korea University, OJEong Resilience Institute; OJERI
■ 참여: 책임
■ 과제명: 산림공원제도 도입 추진방안 연구
■ 내용: 숲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산림공원' 모델을 모색하고 제도화·입법화 추진 방안을 제시함
■ 연구기간: 2022.05.12~2022.12.15
■ 지원기관: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 참여: 공동
■ 과제명: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ural Regeneration Index using Diagnostic Indicators of Living area
■ 내용: 농촌지역의 체계적인 진단을 바탕으로 농촌재생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생활권 진단지표를 활용한 농촌재생지수 개발 및 공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2.04.01~2026.12.31
■ 지원기관: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책임: 공동
■ 과제명: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Development of living shoreline technology based on blue carbon science toward climate change adaptation
■ 내용: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사업은 해양생태계를 활용한 탄소흡수 기술을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해안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기간: 2022.04.01~2026.12.31
■ 지원기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Kore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 참여: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