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질리언스(Resilience)
시스템이 변화와 교란을 겪으면서도 기존에 갖고 있는 기능, 구조 및 피드백이 동일한 체제 하에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Holling, 1973; Walker and Salt, 2006; Cutter et al., 2008; Folke et al., 2010; Cheng, 2014; Ndubisi, 2014).
생태적 리질리언스(Ecological Resilience)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구조, 피드백, 정체성이 동일한 하나의 체제가 유지되는 능력(Holling, 1973).
공학적 리질리언스(Engineering Resilience)
*시스템의 기능적인 안정을 위협하는 교란에 대해 정상수준으로 되돌아가는 빠른 복구능력. 즉, 충격으로부터 피해를 받았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 아가는 능력(O’Neill et al., 1986; Pimm, 1984; Tilman & Downing, 1994; Holling, 1996).
*공학적 리질리언스(Engineering resilience)의 4가지 속성인 4R은 내구성(Robustness), 대체성(Redundancy), 신속성(Rapidity), 자원동원성(Resourcefulness)으로 구성.

*내구성(Robustness): 기능의 저하 없이 외부의 교란을 견딜 수 있는 강도나 요소, 시스템의 능력. 즉 충격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견뎌내거나 흡수하는 힘, 저항성을 의미(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대체성(Redundancy): 핵심기능의 유지를 위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기능이나 백업시스템의 여부. 즉 충격으로부터 훼손된 시스템의 기능을 대체하는 시스템(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신속성(Rapidity): 외부의 교란이 발생했을 때 기능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붕괴를 피하기 위해 최단시간에 대응하는 역량, 또는 그 시간(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자원동원성(Resourcefulness): 개인이나 조직이 교란 상황에서 목적 달성이나 기능 수행을 위한 대체 수단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역량, 또는 교란이 발생했을 때 현상을 파악하고 자원과 원활한 정보흐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응체계를 조직화하며 위기에 적응하는 역량(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전대욱, 2015).
리질리언스(Resilience)
시스템이 변화와 교란을 겪으면서도 기존에 갖고 있는 기능, 구조 및 피드백이 동일한 체제 하에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Holling, 1973; Walker and Salt, 2006; Cutter et al., 2008; Folke et al., 2010; Cheng, 2014; Ndubisi, 2014).
생태적 리질리언스(Ecological Resilience)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구조, 피드백, 정체성이 동일한 하나의 체제가 유지되는 능력(Holling, 1973).
공학적 리질리언스(Engineering Resilience)
*시스템의 기능적인 안정을 위협하는 교란에 대해 정상수준으로 되돌아가는 빠른 복구능력. 즉, 충격으로부터 피해를 받았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 아가는 능력(O’Neill et al., 1986; Pimm, 1984; Tilman & Downing, 1994; Holling, 1996).
*공학적 리질리언스(Engineering resilience)의 4가지 속성인 4R은 내구성(Robustness), 대체성(Redundancy), 신속성(Rapidity), 자원동원성(Resourcefulness)으로 구성.
*내구성(Robustness): 기능의 저하 없이 외부의 교란을 견딜 수 있는 강도나 요소, 시스템의 능력. 즉 충격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견뎌내거나 흡수하는 힘, 저항성을 의미(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대체성(Redundancy): 핵심기능의 유지를 위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기능이나 백업시스템의 여부. 즉 충격으로부터 훼손된 시스템의 기능을 대체하는 시스템(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신속성(Rapidity): 외부의 교란이 발생했을 때 기능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붕괴를 피하기 위해 최단시간에 대응하는 역량, 또는 그 시간(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자원동원성(Resourcefulness): 개인이나 조직이 교란 상황에서 목적 달성이나 기능 수행을 위한 대체 수단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역량, 또는 교란이 발생했을 때 현상을 파악하고 자원과 원활한 정보흐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응체계를 조직화하며 위기에 적응하는 역량(Bruneau et al., 2003; O’Rourke, 2007; 전대욱,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