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주기(Adaptive cycle)
적응력이 있는 복잡한 사회생태시스템의 생활사를 표현한 순환구조. 시스템이 성장(r)한 이후 유지되는 상태(K)에 도달하나 교란에 의해 생태계가 붕괴(Ω)되고, 이후 재조직화(α)를 거쳐 다시 성장(r)하는 순환 주기를 의미(Gunderson & Holling, 2002; Walker & Salt, 2006). 적응주기의 3가지 성분(Connectedness, Potential, Resilience)이 적응주기의 성격을 결정.

* 연결성(Connectedness): 시스템 구성요소간 연결의 정도.
* 잠재성(Potential): 시스템에 축적되는 자원이며 시스템이 변화할 수 있는 한계를 산정.
* 회복성(Resilience): 복잡한 적응 주기의 모든 단계를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

적응주기의 4단계
* 성장(r)à보존(K): 시스템 전체가 안정화되는 과정. 연결성 및 잠재성이 증가하며 회복성은 낮음.
* 보존(K)à해체(Ω): 잠재성을 방출하는 빠른 과정, 창조적 파괴. 연결성이 낮아짐.
* 해체(Ω)à재구성(a): 예상치 못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잠재성을 높이는 과정.
* 재구성(a)à성장(r): 잠재성이 유출되는 과정이며 연결성은 낮고 회복성이 높아짐.
적응주기(Adaptive cycle)
적응력이 있는 복잡한 사회생태시스템의 생활사를 표현한 순환구조. 시스템이 성장(r)한 이후 유지되는 상태(K)에 도달하나 교란에 의해 생태계가 붕괴(Ω)되고, 이후 재조직화(α)를 거쳐 다시 성장(r)하는 순환 주기를 의미(Gunderson & Holling, 2002; Walker & Salt, 2006). 적응주기의 3가지 성분(Connectedness, Potential, Resilience)이 적응주기의 성격을 결정.
* 연결성(Connectedness): 시스템 구성요소간 연결의 정도.
* 잠재성(Potential): 시스템에 축적되는 자원이며 시스템이 변화할 수 있는 한계를 산정.
* 회복성(Resilience): 복잡한 적응 주기의 모든 단계를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
적응주기의 4단계
* 성장(r)à보존(K): 시스템 전체가 안정화되는 과정. 연결성 및 잠재성이 증가하며 회복성은 낮음.
* 보존(K)à해체(Ω): 잠재성을 방출하는 빠른 과정, 창조적 파괴. 연결성이 낮아짐.
* 해체(Ω)à재구성(a): 예상치 못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잠재성을 높이는 과정.
* 재구성(a)à성장(r): 잠재성이 유출되는 과정이며 연결성은 낮고 회복성이 높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