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뉴스 Lafent] ‘2022 생명의숲도시숲정책포럼-기후위기와 도시재난, 도시숲의 역할과 과제’ 개최
출처: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31302&mcd=H11
기후위기와 도시재난…‘회복탄력성’ 강한 도시 만들어야 생명의숲, 도시숲 정책 포럼 성료 [라펜트 조경뉴스](lafent.com) 주선영 기자 2022-09-29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취약성은 높아지고 있어 도시재난을 대비한 도시 회복 탄력성이 화두가 되고 있다. 또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해법으로 도시숲이 야기되면서, 그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사)생명의숲이 지난 22일 ‘2022 생명의숲도시숲정책포럼-기후위기와 도시재난, 도시숲의 역할과 과제’를 온라인 줌으로 개최했다.
이날 첫 번째 발제에는 전진형 고려대학교 교수가 ‘기후위기시대 도시재난과 회복 탄력성’이란 주제로, 기후위기와 관련해서 회복 탄력성의 개념을 이용해 도시재난을 대비하기 위해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접근에 대해서 발표했다.
전진형 교수는 “회복 탄력성은 어떤 예상치 못한 교란을 가졌을 때 그 교란으로부터 견디는 능력, 이겨내는 능력 그리고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능력을 말한다”며 “회복 탄력성이란 단어를 쓰는 이유는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게 회복력의 개념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재해, 취약 계층 고려, 환경 중심이 돼서 회복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시재난 관리의 패러다임은 적응력 관리가 대세다”라며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관리 단계까지 회복 탄력성 혹은 회복력이라는 단어를 도입이 해야 한다. 그래야만 높은 회복 탄력성을 유지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공급해서 도시의 기능이 지속 가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 교수는 미국의 브루클린에 있는 ‘고아스 문화 스폰지 공원’을 사례로 들며, “전 세계 대도시들이 대부분 불투수층 면적이 높기 때문에 우수관의 용량이 한계가 있다”라며, “그 대안으로 도시숲이나 그린인프라처럼 물을 잠시 머금고 있다가 천천히 흘려보낼 수 있는 스폰지의 개념을 도입한 그런 프로젝트를 많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경뉴스 Lafent] ‘2022 생명의숲도시숲정책포럼-기후위기와 도시재난, 도시숲의 역할과 과제’ 개최
출처: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31302&mcd=H11
기후위기와 도시재난…‘회복탄력성’ 강한 도시 만들어야 생명의숲, 도시숲 정책 포럼 성료 [라펜트 조경뉴스](lafent.com) 주선영 기자 2022-09-29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재해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취약성은 높아지고 있어 도시재난을 대비한 도시 회복 탄력성이 화두가 되고 있다. 또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해법으로 도시숲이 야기되면서, 그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논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사)생명의숲이 지난 22일 ‘2022 생명의숲도시숲정책포럼-기후위기와 도시재난, 도시숲의 역할과 과제’를 온라인 줌으로 개최했다.
이날 첫 번째 발제에는 전진형 고려대학교 교수가 ‘기후위기시대 도시재난과 회복 탄력성’이란 주제로, 기후위기와 관련해서 회복 탄력성의 개념을 이용해 도시재난을 대비하기 위해 우리가 지향해야 할 접근에 대해서 발표했다.
전진형 교수는 “회복 탄력성은 어떤 예상치 못한 교란을 가졌을 때 그 교란으로부터 견디는 능력, 이겨내는 능력 그리고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능력을 말한다”며 “회복 탄력성이란 단어를 쓰는 이유는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게 회복력의 개념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재해, 취약 계층 고려, 환경 중심이 돼서 회복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시재난 관리의 패러다임은 적응력 관리가 대세다”라며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관리 단계까지 회복 탄력성 혹은 회복력이라는 단어를 도입이 해야 한다. 그래야만 높은 회복 탄력성을 유지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공급해서 도시의 기능이 지속 가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 교수는 미국의 브루클린에 있는 ‘고아스 문화 스폰지 공원’을 사례로 들며, “전 세계 대도시들이 대부분 불투수층 면적이 높기 때문에 우수관의 용량이 한계가 있다”라며, “그 대안으로 도시숲이나 그린인프라처럼 물을 잠시 머금고 있다가 천천히 흘려보낼 수 있는 스폰지의 개념을 도입한 그런 프로젝트를 많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